Overview 11번가 App 홈화면 문제정의 및 솔루션 도출 프로젝트 이번 UXUI 입문 강의를 모두 수강하고, 디자인 싱킹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한 '11번가 App'을 뜯어보고 사용성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내 보았다. 강의 수강 이전에는 정리되지 않은 적은 지식을 바탕으로 꾸역꾸역 기획을 진행하여, 자꾸 본질을 이탈하게 되는 실수를 범했다. 아직도 그 부분에 있어서는 어렵지만, 좋은 강의와 튜터님 피트백을 들을 수 있어서 좋은 뱡향으로 수정이 되고 있는 것 같다. Figma를 활용하여 디자인 시스템 기본기를 익히다 정말 기본기에 있어 자신이 없었는데, 가려운 부분을 튜터님 강의가 정말 잘 긁어주시는 것 같다. 와이어프레임에 있어 어디까지가 와이어프레임일까 항상 고민이 되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와..
오늘 작업한 것 1. 경쟁사 분석: 마켓컬리 2. 페르소나 추출 3. 비주얼 언어 만들기 4. 무드보드 제작 5. 무드보드 바탕 컬러 추출 6. 컬러, 타이포 키트 제작 7. 와이어프레임 제작 시작 8. 컨포넌트 제작 시작 오늘 새로 배운 것 1. 디자이너가 글을 써야 하는 이유 글감을 찾고 쓰는 과정 속에서 늘어나는 사고력 글을 논리적으로 작성하면서 향상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블로그 글을 통한 자기 PR 공개성을 통한 기회 확보 2. 글을 쓰는 방법 신입으로서 적을 수 있는 것은, 내가 이런 경험을 해보았다는 것 포트폴리오에서 담지 못한 것은 글로 풀어내자. TIL 작성법 WIL 작성법 3. 좋은 글 인사이트가 있는 글 정확한 정보가 담긴 글 신속성 있는 글 4. 좋은 글을 찾는 방법 오늘의 문제해결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eWbYF/btsCTWN07kx/MetkfqGKekPZI2xZ1b2sDK/img.png)
오늘 피드백 분석솔루션 이전에 '가정하기'를 설정하지 않아 목표 설정이 불확실하고 일관되지 않음 ➡︎ 그에 따라 관련 없는 솔루션은 삭제하고, 추후 재고민하는 방향이 적절 11번가의 주요 수익구조인 광고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 ➡︎ 그린닷 솔루션 이전에 FAB 버튼을 왜 광고 용도로 사용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함 기존 11번가 솔루션 검토핵심 문제슈팅배송이 강조되지 않는다.이유시각적 차별화 부재기존 솔루션: primary 컬러를 보색 컬러로 바꾸어 시각적 중요도를 복원하자. 한계: 생각보다 primary 컬러의 사용 빈도는 한정적이었다. 새로운 인사이트 폰 레스토프 효과 : 인간은 본능적으로 일반적이지 않은 것들, 특이한 패턴, 시각적으로 차별화되는 요소에 먼저 빠르게 주의를 기울이게 됨 ➡︎ ..
오늘 새로 배운 것 통계자료가 필요할 때 Opensurvey > trend report 와이즈앱 > 인사이트 레퍼런스 분석법 화면 구조 분석 디자인원칙 기반 분석 개선방안 모바일 광고 9가지 유형 1. 배너 광고 : 화면 내 이미지 광고 2. 인터스티셜 광고(전면배너) : 화면을 가득 채우는 전면 광고이며, 일반적으로 앱 내 전환 포인트나 앱 시작/종료 시점에 노출 3. 네이티브 광고 : 유저 경험을 해치치 않는 형태로 콘텐츠와 유사한 자연스러운 광고 유형 4. 리워드형 광고 : 광고를 노출시키고 유저들이 광고에 대한 액션을 했을 때 보상을 주는 유형의 광고 5. 보상형 비디오 광고 : 영상 광고를 시청한 유저에게 인앱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형태, 인디 게임사에서 앱 수익화를 위해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6..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GyJMo/btsCzLeNR74/HqwiQ1KuJrW7jxM1iKMXm0/img.png)
오늘 새로 배운 것 UX와 UI의 차이점 + HCI UXUI 디자인의 역사 UX 디자이너 & UI 디자이너 & 프로덕트 디자이너 Data-Driven 디자인 싱킹 디자인 싱킹의 단계 공감하기 공감 지도 인터뷰 A-E-I-O-U 관찰법 문제 정의하기 친화도 분석 (Affinity Diagram) 페르소나 (Persona) 5 Whys 사용자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 아이디어 발산하기 SCAMPER로 브레인스토밍 테스트하기 MVP (최소기능) 프로토타입 만들기 사용성 테스트 (Usability Test) 휴리스틱 평가 (Heuristic evaluation) 린캔버스 (Lean Canvas) 역할극 (Role Playing) 오늘의 강의 진행도 UXUI 디자인 입문 강의 정리..
FACT 이번 일주일 동안 내가 한 일 기본 테이블 리서치 정보 조직도 제작 참여 전체 플로우차트 제작 참여 팀 소개 와이어프레임 제작 컬러시스템 함께 제작 참여 컴포넌트 제작 참여 팀 소개 디자인 디자인 완료 후 팀원분들 디자인 도움 프로토타입 제작 참여 발표 자료 완성 시 필요한 자료 재서치 발표 자료 노션 배치 및 논리 확인 프레젠테이션 제작 50% ➡︎ 발표자 편의에 따라 폐기 튜터님 피드백에 따라 어떻게 변경할 지 생각 및 조원과의 논의 피드백 관련 자료 서치 와이어프레임 제작 중 완료 후 남은 시간동안 '네이버지도' 컴포넌트 분석 및 클론디자인 시도 남는 시간동안 아티클 분석 FEELINGS 나의 느낌 다양한 생각 및 배경을 가진 분들과 소통하면서 의견을 조율해나가는 과정이 처음에는 어색했음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fYFr/btsCo5doNbQ/LzGqPqgWP38lsLz6zxQeP0/img.png)
오늘 새로 배운 것 인지부하의 종류 내재적 인지부하 : 학습할 과제나 학습자의 수준에 의해 생기는 부하 ➡︎ 어렵거나 양이 많으면 사용자가 받아들이기 힘들다. 외재적 인지부하 : 과제의 난이도가 아닌 가르쳐주는 것에 따라 달라지는 부하 ➡︎ 사용자에게 학습방법 및 전략을 잘 제시해주어야 한다. 본질적 인지부하 : 학습자가 과제를 처리하기 위한 노력에서 생기는 부하 ➡︎ 사용자 본인이 주체가 되어서 생기는 부하. 내제적, 외재적 부하를 잘 설계하여 본질적 인지부하를 잘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 출처: https://brunch.co.kr/@zalhanilll/145 UX/UI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심리학 원칙 심리학은 앱의 UX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디자인이 어떻게 인지되는지 이해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효과..
오늘 새로 배운 것 피그마 프로토타입 제작 시 '막히는 스크롤' 인터렉션을 주고 싶을 때 문제상황 : 피그마에서 'On Click > scroll to'로 막히는 스크롤 인터렉션 구현 시도 ➡︎ 실패 문제분석 1. '스크롤'을 구현하고 싶어 피그마 'scroll to' 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에 매몰되어 있음 2. 'On click'가 아닌 'On drag' 기능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On drag'로는 'scroll to'를 사용할 수 없음 (이때.. 빠져나와야 했습니다...🥹) + 튜터님 말씀 중 'scroll to'에 대한 부분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신다는 느낌을 받음3. 스크롤 인터렉션까지는 성공하였으나, 탭바 부분이 목차별로 움직이지 않고, 하단 바로가기 버튼과 위로 올라가기 버튼도 처..